페이지

글목록

레이블이 T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R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7년 2월 18일 토요일

[IC 소개] TR 작은 사이즈 NPN/PNP

요새 기술이 대단하네요. TR 크기가 1x1 mm 밖에 안되네요. 헐~~. 그것도 듀얼(2-ch).

[NPN-2-Channel]


[PNP-2-Channel]

[PSOC5] TR(MMBT3904),열전대 온도측정(프로그램 첨부)

이전 글에 TR(MMBT3904)의 내부 다이오드를 이용해서 오도 측정하는 방법 중, 
H/W 상의 설명은 충분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사실 저도 정확하게 잘 모릅니다. 그냥 실제로 써 먹을 수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다이오드 온도 센싱을 위해 수학함수 쓰다가 컴파일러 오류 나서 고치고,
온도 값을 받아서 UART 에 floating point 로 출력하다가 컴파일러 오류나서 고치다 보니 한동안 멍~하네요.

이제 겨우 본론으로, 간단하게(저도 잘 모르는 관계로) 다이오드 온도측정과 열전대 온도측정에 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일단 동작은 모두 잘 됩니다.

다이오드(TR 내부의 다이오드) 온도센싱의 회로도와 열전대 회로도를 다시 한번 올려 보겠습니다.

[#1 다이오드 온도측정 회로도]




[#2 열전대 온도측정 회로도]



추가로 이번에 안 사실인데, 열전대를 거꾸로 달면 온도가 올라갈수록 전압이 낮아져서 온도가 떨어지는 것처럼 동작하더군요.
주의 : 열전대는 방향이 있습니다. 


다음은 PSOC5 의 콤포넌트를 배치하는 Topdesign.cysch 입니다.


다른 MCU와 좀 색다른 프로그램 환경이지만, 
1. Differential 20-Bit ADC 5ch 사용하고, 
2. current mode DAC 1개 , 
3. 칩내부 온도 센싱 (프로그램에서는 사용 안했음),
4. 열전대 온도 테이블 계산 콤포넌트,
5. UART 1개
를 사용했습니다.

[첨부한 예제 프로그램 설명]
Diode 로 측정된 온도를 프로그램에서는 Cold Junction Temperature 라고 부르고,
열전대로 측정한 온도를 Hot Junction Temperature 라고 부르더군요.
2개의 온도를 측정해서(물론 여러가지 처리를 합니다. sw 노이즈 필터, 열전대 테이블 보상 등등),
서로 더해주면 최종 열전대로 측정된 온도가 나옵니다.
이것을 UART로 출력 합니다.

이정도면 됐을까요? 이해 안되시면 댓글에 질문하시고, 저도 잘 모르지만 한번 해 본 것밖에 차이는 없습니다. ^^

예제 파일 첨부합니다. [link file]

2017년 2월 12일 일요일

[전원 분리제어] #7. 전원 분리 후 전류 싱크 입력(수위 센싱)

이번에 테스트 한 접촉식 수위 센서를 구현해 봤습니다.

물을 감지하면 LED가 켜지는 구조이고 감지가 잘 됩니다. 첨 해 본 건데, 나중에 문제 생기면 후기 올리겠습니다.
요새는 비접촉식 수위 측정 센서들이 조금씩 나오는 듯 한데, 자신 없으면 접촉식.. 
아직 확실한 비접촉식 센서는 없는듯 보입니다.



[전원 분리제어] #6. 전원 분리 후 전류 싱크 입력 기본 회로 및 접점 입력

전원 분리된 24V DC 쪽 접점 입력 회로입니다.

요새는 소자들이 좋아져서 옛날 회로 처럼 복잡하게 구성하지 않아도 되는 것 같습니다.
전 옛날 회로 이해도 못해서 그냥 최신 소자랑 레퍼런스 회로 참고해서 구현했습니다.

지금까지 모두 동작 잘되는 것은 확인했습니다. ^^



[전원 분리제어] #5. 전원 분리 후 전류 소싱 출력(대전력 AC ON/OFF 제어)

대전력 아마 이 트라이악 소자가 30A 까지 가능 한가 그럴겁니다. 
하지만 제가 감이 안와서 방열판을 얼마나 크게 해야 할지, 회로 패턴 굵기는 얼마로 할지  몰라서 10A 미만 정도로 예상합니다.

원래는 5KW 전열기를 직접 제어 하려고 했는데 자신이 없어서.. ^^


[전원 분리제어] #4. 전원 분리 후 전류 소싱 출력(소전력 AC)

이 회로는 소전력 AC 로드(솔밸브,마그네틱 스위치,릴레이)에 사용 가능 합니다.

ISOLATE FET 드라이브만한데, 최대 900mA 까지 출력이 되서 쓰임새가 많을 것 같습니다. ^^


[전원 분리제어] #3. 전원 분리 후 전류 소싱 출력(24V 모터 제어)

얼마 전에 올린 회로인데 다시 전력제어 시리즈니까 ^^ 

아, 참.. 이 회로는 아직 테스트 안해봤으니 해 보고 후기를 올리겠습니다.


[전원 분리제어] #2. 전원 분리 후 전류 소싱 출력 (DC 출력)

이전에 올린 글의 기본 회로에 붙여서 사용하면 DC 출력이 되는 회로입니다.

부저,릴레이,기타 등등으로 소량의 전류를 사용하는 부하에 사용 가능합니다.
앞단의 TR의 스펙을 올리면 좀 더 큰 전력 제어도 가능합니다.


[전원 분리제어] #1. 전원 분리 후 전류 소싱 출력 기본회로

안녕하세요, 저는 전원 분리를 노이즈가 있거나 환경이 열악한 상황에서 중요한 콘트롤 장치를 보호 하려고 사용했습니다.

외부 전력제어 소자들에 의해서 , 특히 모터가 있고 온도 센싱도 열전대를 사용하는 바람에 20비트 ADC 를 써야하니 
노이즈가 커지면 치명적일겁니다.
그렇게 ADC를 해도 노이즈가 많아 디지탈 필터를 프로그램으로 해 넣어야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뽑아 낼 수 있었습니다.

제가 우선 전력전자 전공은 아니라서, 여차저차 구글링해서 디지키에서 최근 나온 소자로 회로를 설계해서 
테스트를 해 보고 올려 봅니다.

MCU 전원은 24V 에서 DCDC-CONVERTER 로 5V (400mV)를 만들어서 썼고,
이렇게 분리된 전원으로 24V 쪽에 붙어 있는 DC-Motor,부저,릴레이를 출력으로 제어 했습니다.
입력으로 분리된 24V 로 물에 전기를 통하게 하여 접촉식 수위 센서를 구현했고, 접점입력 들을 구현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좀 약한 대전력 제어인데, 게다가 AC220V 제어입니다.
솔벨브나 마그네틱 스위치는 용량이 얼마 안되서 AC220V,900mA 를 출력할 수 있는 트라이악이 단일 소자로 나와서 간단했습니다.
여기서 5KW 전열기를 제어하는 소자는 자신이 없어서 마그네틱 스위치로 제어했습니다.
그리고 조금 대전력으로 볼 수 있는 1KW 급 약간 못 되는 AC모터는 대용량 트라이악으로 제어를 했습니다.

이 (출력)제어 대상의 기본이 되는 것이 전원 분리 후, 전류를 소싱하는 회로입니다.
(한번에 다 쓰 면 가독성과 찾기가 불편에서 글이 짧아도 이해 바랍니다.)

기본 회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출력에 붙이는 회로에 따라 여러가지가 나옵니다.